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완전탐색
- 문자열
- 프로그래머스
- Code Refactoring
- sort
- Greedy
- 알고리즘
- 힙
- Dynamic Programming
- 동적계획법
- 큐
- Algorithm
- heap
- binary search
- DVWA
- graph
- 그래프
- string
- BFS
- django
- Queue
- 코딩테스트
- 탐욕법
- 정렬
- 백준
- programmers
- 카카오 기출
- DFS
- DP
- Brute Force
- Today
- Total
생각과 고민이 담긴 코드
프로그래머스 - 구명보트 (Greedy) / Level 2 본문
출처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85
코딩테스트 연습 - 구명보트
무인도에 갇힌 사람들을 구명보트를 이용하여 구출하려고 합니다. 구명보트는 작아서 한 번에 최대 2명씩 밖에 탈 수 없고, 무게 제한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의 몸무게가 [70kg, 50kg, 80kg, 5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무인도에 갇힌 사람들을 구명보트를 이용하여 구출하려고 합니다. 구명보트는 작아서 한 번에 최대 2명씩밖에 탈 수 없고, 무게 제한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의 몸무게가 [70kg, 50kg, 80kg, 50kg]이고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이 100kg이라면 2번째 사람과 4번째 사람은 같이 탈 수 있지만 1번째 사람과 3번째 사람의 무게의 합은 150kg이므로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을 초과하여 같이 탈 수 없습니다.
구명보트를 최대한 적게 사용하여 모든 사람을 구출하려고 합니다.
사람들의 몸무게를 담은 배열 people과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 limit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사람을 구출하기 위해 필요한 구명보트 개수의 최솟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무인도에 갇힌 사람은 1명 이상 50,000명 이하입니다.
- 각 사람의 몸무게는 40kg 이상 240kg 이하입니다.
-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은 40kg 이상 240kg 이하입니다.
-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은 항상 사람들의 몸무게 중 최댓값보다 크게 주어지므로 사람들을 구출할 수 없는 경우는 없습니다.
입출력 예시
people | limit | return |
[70, 50, 80, 50] | 100 | 3 |
[70, 80, 50] | 100 | 3 |
풀이
def solution(people, limit):
answer = 0
heavy = len(people) - 1
light = 0
people.sort()
while heavy != light: # 맨 뒤부터 시작하는 index와 맨 앞에서부터 시작한 index가 같아질때까지
if people[heavy] + people[light] <= limit: # 가장 무거운 사람과 가장 가벼운 사람을 같이 태울 수 있으면
people[heavy] += people[light] # 같이 태운다.
light += 1 # 그 다음 가벼운 사람도 태울 수 있는지 체크.
else: # 베에 가장 가벼운 사람도 못태운다면 더이상 아무도 태우지 못하기 때문에
answer += 1 # 배를 출발 시키고
heavy -= 1 # 그 다음 무거운 사람을 새로운 배에 태운다.
answer += 1 # 마지막 사람(들)이 타는 배 출발.
return answer
오랜만에 어렵지 않은 문제였다. 마찬가지로 Greedy 문제이기 때문에 주어진 상황에서 최적해를 선택하면 된다.
처음에 생각했던 최적해 방식은 sort( )로 정렬한 뒤 가벼운 사람부터 최대한 많이 태워서 보트의 수를 최소화하겠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좀 더 생각해보면 이 문제의 최적해는 limit에 최대한 가깝도록 무게를 맞추는 것이다.
이것을 운영체제의 File system이나 Memory management 관점으로 생각해본다면
page 혹은 block 내에서의 internal fragmentation을 최소화시키는 문제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Internal fragmentation이란 page나 block의 크기를 실제 사용하는 크기보다 크게 할당받아
page, block 내에 사용 안된 채로 남아있는 공간이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Algorithm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 단속카메라 (Greedy) / Level 3 (0) | 2021.09.13 |
---|---|
프로그래머스 - 섬 연결하기 (Greedy) / Level 3 (0) | 2021.09.12 |
프로그래머스 - 큰 수 만들기 (Greedy) / Level 2 (0) | 2021.09.01 |
프로그래머스 - 조이스틱 (Greedy) / Level 2 (0) | 2021.08.30 |
프로그래머스 - 체육복 (Greedy) / Level 1 (0) | 2021.08.27 |